맨위로가기

사티리콘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티리콘》은 1969년 개봉한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이다. 페트로니우스의 동명의 고대 로마 소설을 자유롭게 각색하여, 꿈과 현실, 신화와 역사가 혼합된 독창적인 세계를 그려낸 작품이다. 영화는 엔콜피우스, 아스킬투스, 기톤을 중심으로 사랑, 욕망, 상실을 경험하는 인물들의 방랑과 에피소드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보여준다. 제43회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 제27회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 후보, 제30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최우수 이탈리아 영화상 수상작이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성결혼을 소재로 한 영화 - 페이크 러브 (영화)
    2023년 개봉한 미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 《페이크 러브》는 윌 글럭 감독, 시드니 스위니와 글렌 파월 주연으로, 여동생 결혼식에서 재회한 비와 벤이 가짜 연애를 시작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전 세계적으로 2억 2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 동성결혼을 소재로 한 영화 - 에브리바디 올라잇
    에브리바디 올라잇은 레즈비언 부부의 자녀들이 정자 기증으로 태어난 생물학적 아버지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10년 미국 드라마 영화로, 선댄스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고 골든 글로브상 수상 및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
  • 1969년 성소수자 영화 - 사랑하는 여인들
    《사랑하는 여인들》은 D.H. 로렌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1920년대 잉글랜드 탄광촌을 배경으로 두 자매가 각기 다른 남성들과의 관계를 통해 사랑과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1969년 개봉 영화이다.
  • 1969년 성소수자 영화 -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은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의 1969년 영화로, 나치즘 시대 독일 철강 재벌 가문의 권력 암투와 몰락을 통해 권력욕에 눈먼 인간들의 비극을 그린 작품이며,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르고 비스콘티의 "독일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받는 등 국제적인 호평과 함께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풍자 영화 - 캔터베리 이야기 (1972년 영화)
    《캔터베리 이야기》는 1972년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가 감독한 이탈리아 드라마 영화로, 14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캔터베리로 순례하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했으며, 제2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 이탈리아의 풍자 영화 - 진저와 프레드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1986년 이탈리아 영화 《진저와 프레드》는 진저 로저스와 프레드 아스테어를 모방한 댄서 듀오 아멜리아와 피포가 30년 만에 재결합하여 TV 쇼에 출연하는 이야기로, 줄리에타 마시나가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으며 전미 비평가 위원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사티리콘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탈리아 극장 개봉 포스터
이탈리아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Fellini Satyricon
감독페데리코 펠리니
제작자알베르토 그리말디
각본페데리코 펠리니
베르나르디노 자포니
브루넬로 론디
찰스 우드
원작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
출연마틴 포터
하람 켈러
막스 보른
살보 란도네
마갈리 노엘
알랭 퀴니
루치아 보세
타냐 로페르트
카퓌신
음악니노 로타
일한 미마로글루
토드 도크스테이더
앤드루 루딘
촬영주세페 로투노
편집루제로 마스트로이안니
제작사프로두치오니 에우로페에 아소치아티
배급사유나이티드 아티스츠
개봉일1969년 9월 3일 (로마 초연)
1969년 9월 18일 (이탈리아)
1970년 9월 19일 (일본)
상영 시간129분
제작 국가이탈리아
프랑스
언어이탈리아어
라틴어
제작비미화 3백만 달러
흥행 수입미국/캐나다 렌탈 수익: 140만 달러
이탈리아 외 지역 수익: 800만 달러

2. 줄거리

영화는 낙서로 뒤덮인 벽으로 시작하며, 엔콜피우스가 그의 연인 기톤을 아스킬투스에게 빼앗긴 것을 한탄한다. 엔콜피우스는 기톤을 되찾기 위해 목욕탕에서 아스킬투스가 기톤을 배우 베르나키오에게 팔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극장에서 베르나키오와 기톤이 "황제의 기적"이라는 음란한 연극을 공연하는 것을 발견하고, 무대로 쳐들어가 기톤을 되찾는다.[5] 로마의 다세대 주택인 인술라 펠리클레스에서, 그들은 루파나레(Lupanare)라고 알려진 광대한 로마의 매춘굴을 지나가며 수많은 관능적인 장면을 관찰한다.

기톤이 아스킬투스를 선택하여, 사랑하는 사람에게 떠나간 엔콜피오는 절망에 빠져 흐느끼고 있자, 엔콜피오가 묵던 숙소가 지진으로 붕괴된다. 갈 곳을 잃은 엔콜피오는 우연히 방문한 미술 전시회에서 시인 에우몰포(살보 란도네)에게 말을 걸고, 에우몰포의 지인인 해방 노예 트리말키오(마리오 로마뇰리)가 여는 향연에 초대받는다. 그러나 에우몰포는 트리말키오의 분노를 사, 타오르는 불길 속에 던져질 위기에 처한다.[5]

에우몰포와 엔콜피오는 향연에서 도망쳐 사막 위에서 잠이 든다. 다음 날 아침, 엔콜피오는 리카(알랭 퀴니)를 두목으로 하는 해적단에게 붙잡혀 노예선에 던져진다. 노예선 안에서 엔콜피오는 아실토와 지토네의 모습을 발견한다. 이후 십 대 황제는 자살하고, 군인들은 배에 탑승하여 트뤼파에나의 만족스러운 시선 아래에서 리카스의 목을 벤다.

군인들에게 붙잡힌 엔콜피우스는 미궁에서 풀려나 검투사의 미노타우르스와 테세우스 역할을 강요받는다. 모무스 축제에서 엔콜피우스는 검투사에게 자비를 배풀고, 축제에서 아리아드네를 보상받지만, 그녀와 성관계를 가지는 것에 실패한다. 이후 아스킬투스가 뱃사공에게 살해당하고, 엔콜피우스는 북아프리카로 가는 에우몰푸스의 배에 합류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에우몰푸스는 이미 죽었고, 그의 시체를 먹는 자에게 상속한다는 유언을 남긴다. 엔콜피우스는 이 조롱을 견디지 못하지만, 선장은 배에 탑승하도록 초대한다. 엔콜피우스는 선장과 승무원과 함께 항해를 시작하고, 영화는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벽화가 있는 무너지는 벽으로 전환된다.

2. 1. 주요 등장인물


  • 엔콜피우스 역 - 마틴 포터: 영화의 주인공으로, 사랑하는 소년 노예 지토네를 친구 아실토에게 빼앗기고 방황하는 미소년 학생이다.
  • 아실투스 역 - 하이람 켈러: 엔콜피우스의 친구이자 연적. 엔콜피우스에게서 지토네를 빼앗는다.
  • 기톤 역 - : 엔콜피우스와 아실투스 사이에서 갈등하는 아름다운 소년 노예. 엔콜피우스 대신 아실투스를 선택한다.
  • 유몰푸스 역 - : 방랑 시인. 엔콜피우스를 트리말키오의 연회에 초대하지만, 트리말키오의 분노를 사 위기에 처한다.
  • 트리말키오 역 - 마리오 로마뇰리: 부유한 해방 노예. 화려하지만 천박한 연회를 주최한다.
  • 리카스 역 - 알랭 퀴니: 엔콜피우스를 납치하는 해적단 두목.

2. 2. 주요 사건

엔콜피우스는 자신의 연인 기톤을 아스킬투스에게 빼앗기고 그를 되찾으려 한다. 목욕탕에서 아스킬투스가 기톤을 배우 베르나키오에게 팔았다는 것을 알게 된 엔콜피우스는 극장으로 쳐들어가 기톤을 되찾는다.[5] 하지만 기톤은 아스킬투스를 선택하고, 엔콜피우스는 절망에 빠진다. 그 순간 지진이 발생하여 엔콜피우스가 묵던 숙소가 붕괴된다.

갈 곳을 잃은 엔콜피우스는 미술관에서 시인 에우몰푸스를 만나 트리말키오의 연회에 초대받는다.[5] 트리말키오의 연회는 부와 권력의 과시, 성적 타락,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가 뒤섞인 기괴한 광경이었다. 에우몰푸스는 트리말키오의 분노를 사 불길 속에 던져질 위기에 처하지만, 엔콜피우스와 함께 연회장에서 도망친다.

다음 날 아침, 엔콜피우스, 기톤, 아스킬투스는 리카스가 이끄는 해적단에게 붙잡혀 노예선에 갇힌다. 리카스는 엔콜피우스를 자신의 배우자로 삼는 결혼식을 올린다.[5]

3. 각색

펠리니는 페트로니우스의 원작을 자유롭게 각색하여, 꿈과 현실, 신화와 역사가 뒤섞인 독창적인 세계를 창조했다.[6][7] 원작에 없는 미노타우르스와의 미궁에서의 결투 장면은 엔콜피우스를 테세우스와 연결시키며 무의식으로의 여정을 보여준다.[9] 또한, 사막 캐러밴에서 남편의 강요로 아스킬투스, 엔콜피우스와 관계를 맺는 색정광 여인과, 케레스 신전에서 숭배받는 양성애자가 납치되어 죽음을 맞는 장면 등은 원작에는 없는 펠리니의 독창적인 장면들이다.[9]

두 주인공인 엔콜피우스와 아스킬투스는 계속 등장하지만, 그들을 둘러싼 캐릭터와 장소는 예상치 못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단편적인 구성은 원작의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펠리니의 독특한 연출 스타일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프레스코화로 칠해진 벽이 무너지고 폐허가 된 빌라의 모습은 이러한 단편화를 시각적으로 반영한다.[10] 펠리니는 카를 융집단 무의식 이론에 관심을 보이며, 꿈결 같은 배경에 풍부한 원형을 사용했다.[11]

4. 제작

촬영은 주로 치네치타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으며, 제작진의 의상 디자인을 맡은 다닐로 도나티가 세트를 디자인했다. 영화는 피우미치노, 라티나, 폰티네 제도 등 야외에서도 촬영되었다. 동굴 장면은 로마 콜로세움 아래에서 촬영되었다. 공동 시나리오 작가 베르나르디노 자포니는 펠리니가 의도적으로 배우들의 입술과 대사가 맞지 않게 더빙하여 소외 효과를 창출했다고 언급했다.[13]

4. 1. 경쟁작

같은 해에 잔 루이지 폴리도로 감독의 《사티리콘》이 개봉되어 경쟁 관계에 놓였다. 프로듀서 알프레도 비니는 1962년에 '사티리콘'이라는 제목을 등록했다. 펠리니와 그의 프로듀서 알베르토 그리말디가 영화 작업을 시작하자, 비니는 잔 루이지 폴리도로와 계약하여 자신의 버전을 연출하게 했다. 그리말디는 경쟁 영화를 중단시키기 위해 비니를 고소했지만 패소했다. 그 결과, 펠리니의 영화는 구분을 위해 《펠리니의 사티리콘》이라는 제목으로 불리게 되었다.[12]

5. 평가

펠리니 사티리콘》은 1969년 9월 4일 제30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된 후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7] 타임》은 "평소 조심스러운 언론인들이 영화에 5분간의 기립 박수를 보냈다... 베니스 상영이 너무나 인기가 많아 원래 2000Lira(3.2달러)였던 영화제 티켓이 암시장에서 60000Lira(약 100USD)에 팔렸다"고 보도했다.[18]

펠리니의 전기 작가 툴리오 케치는 "명백한 부정적인 반응은 없었다. 10년 전 유행했던 도덕적 설교는 유행이 지난 것 같다"고 언급했다.[19] 코리에레 델라 세라에 기고한 긍정적인 평론에서 조반니 그라찌니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펠리니의 로마는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로마와 전혀 관계가 없다. 그것은 역사적 시간을 벗어난 장소이며, 펠리니의 유령들 사이에서 페트로니우스가 언급한 에피소드가 되살아나는 무의식의 영역이다... 그의 《사티리콘》은 어른들을 위한 동화 여행이다. 펠리니는 이 고대 인물들에게 자신의 인간적이고 예술적인 의문을 투영하며, 인생의 덧없음이 그림자처럼 지나가는 격렬한 깨달음으로 인간의 보편적이고 영원한 조건이 요약되는지 궁금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쾌락에 빠져 방탕에 시달리며 하루를 보내는 이 고대 로마인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내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불행한 종족이다."[20]

케치는 이 영화를 자기 분석 연구로 보며, "모든 것이 시청자를 불안하게 만들고, 그가 존재할 수 있다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삶의 장면을 처음 보는 듯한 인상을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펠리니는 자신의 영화를 '과거의 SF'라고 묘사했는데, 마치 타락한 시대의 로마인들이 날아다니는 접시의 경악한 거주자들에 의해 관찰되는 것과 같다."라고 말했다. 또한 "영화가 고대 로마에 대한 그럴듯한 해석을 제안하는지, 아니면 어떤 방식으로든 페트로니우스를 묘사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무의미하다. 가장 놀랍지 않은 부분은 페트로니우스의 텍스트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거나 다소 모호한 역사적 중요성을 갖는 부분이다."라고 덧붙였다.[21]

이 영화는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에서 흥행에 성공했다.[22] 제42회 아카데미상 외국어 영화상 부문에 이탈리아 대표작으로 선정되었지만, 후보로 지명되지 못했다.[23] 다음해, 펠리니는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24]

5. 1. 수상 및 후보 지명

제43회 아카데미상 감독상 후보,[24] 제27회 골든 글로브상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30] 제30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최우수 이탈리아 영화상을 수상했다.[17]

5. 2. 출연진 (한국어 더빙)

배역일본어 더빙 (TBS판)
엔콜피오히우라 벤
아실토쓰가야마 마사네
에모르포오쿠보 마사노부
포르투나아리마 미즈코
트리마르초네후지모토 조
리카스 장군미도리카와 미노루
베르나키오고야마 타쿠조
기타아사가미 요코, 노모토 레이조, 구니사카 신, 스즈키 레이코, 후지시로 유시, 히로세 마사시, 다케구치 아키코


  • 연출: 후쿠나가 간지
  • 번역: 이와사 사치코
  • 제작: 도호쿠 신샤
  • 초회 방송: 1978년 11월 4일 『토요 로드 쇼』 (약 76분, Blu-ray 수록)

6. 관련 사항

일본에서는 유나이트 영화(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일본 지사가 수입하여 1970년 9월 19일에 배급하여 공개되었다.[3] 기데온 바흐만 감독은 이탈리아·미국·스웨덴 합작으로 본작의 제작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Ciao Federico !|페데리코 펠리니 사티리콘 일지프랑스어》를 제작하여 1971년에 미국 등에서 공개하였다.[4]

참조

[1] 서적 The Second Wave: British Drama for the Seventies Routledge Revivals 1971
[2] 웹사이트 "''Fellini – Satyricon'' (X)" http://www.bbfc.co.u[...] 1970-04-14
[3]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7
[4] 뉴스 Big Rental Films of 1970 Variety 1971-01-06
[5] 문서
[6] 문서
[7] 문서 Comments on Film
[8] 간행물 "Intertext and the End of Humanism" Toronto University Press 2002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VHS: Fellini Satyricon http://www.tower.com[...] Tower.com Inc. 2015-09-12
[15] 웹사이트 Fellini Satyricon (1969)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2015-09-12
[16] 웹사이트 Criterion Collection (Fellini Satyricon) https://web.archive.[...] Edward Kinsella 2015-04-16
[17] 문서
[18] 뉴스 Time Time 1969-09-10
[19] 문서
[20] 뉴스 Grazzini's review Corriere della Sera 1969-09-05
[21] 뉴스 Kezich's review Panorama 1969-09-18
[22] 문서
[23]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4] 웹사이트 The 43rd Academy Awards (1971)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11-26
[25] 웹사이트 Fellini Satyricon
[26] 문서
[27] 뉴스 Fellini's Magical Mystery Tour https://www.nytimes.[...] 1970-03-15
[28] 뉴스 Ebert's 10 Best Lists: 1967–present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Fellini Satyricon" https://www.rogerebe[...] 2001-07-27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サテリコン 2010-08-20
[33] 웹사이트 Ciao, Federico! https://www.imdb.com[...] 2010-08-20
[34] 웹인용 "''FELLINI-SATYRICON'' (X)" http://www.bbfc.co.u[...] 197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